4차 산업혁명의 핵심, 3D프린팅 산업에 412억 투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7-05-17 15:45 조회1,524회 댓글0건

본문

정부는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2017년도 3D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신규 수요창출,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 등에 총 4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행계획은 지난해 12월에 시행된 삼차원프린팅산업진흥법에 의거하여 수립한 3D프린팅 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4대 전략 12대 중점과제의 올해 추진내용을 보다 구체화한 것이다. 

 

 

 

3D프린팅 산업의 새로운 시장수요 창출을 위해 국방·재난안전 등 공공 분야에 대한 단종·조달 애로부품에 대한 3D프린팅 시범제작 및 현장적용 사업을 추진한다. 예를 들면 국방 분야의 랜딩기어, 가스터빈 추진기, 재난·안전 분야의 엔진노즐, 저압파이프밸브 등이다.

 

또한 전국의 3D프린팅 인프라를 활용하여 금속·바이오 제품, 초경량·고강도 탄소소재 제품, 생활 밀착형 제품 등 지역특화산업과 연계된 제작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진료과별 환자 특성에 맞춘 의료용 3D프린팅 치료물 제작 등 시장 확산을 위한 선도사업을 추진한다.

 

3D프린팅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 의료·바이오 분야 기술개발, 3D콘텐츠 모델링 및 해석 소프트웨어 기술 등 고부가가치 핵심 소프트웨어 개발, 지능형 소재 개발 등 차세대 핵심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중대형 선박 부품, 자동차 내장재, 에너지 발전용 부품, 소형 건축물 등을 제작할 수 있는 주물사 3D프린터, 광중합 3D프린터, 복합가공 3D프린터, 이종소재 복합제어 3D프린터 등 3D프린팅 장비 개발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국제 표준화기구에 3D프린팅 표준화 분과를 설립하고, 보급형 3D프린터 유해물질 측정방법, 메디컬 3D프린팅 파일포맷 방식 등의 신규 표준을 제안하며, 3D프린팅의 용어, 범주 및 데이터 처리 등에 대한 국가기술 표준을 도입한다.

 

3D프린팅 확산 기반 조성 및 육성 체계 마련

 

3D프린팅 산업 확산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3D프린팅 제조공정연구센터, 의료기기 제조모델 팩토리를 신규로 구축하고, 중소기업 생산기술 지원을 위한 제조혁신지원센터의 제작기반을 확충한다. 

 

또한 3D프린팅 기업역량 향상을 위해 경영, 마케팅 등 분야별 전문가 풀 구성을 통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지식재산권 교육 및 컨설팅을 통해 기업의 글로벌 분쟁 대응능력을 제고한다. 이와 함께 3D프린팅 국가 기술자격 신설, 산업 분야별 재직자 인력 양성, 초·중학교 현장 활용 수업모델 개발·보급 등을 통해 3D프린팅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현장 교육을 강화한다. 

 

3D프린팅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해 3D프린팅 장비·소재 신뢰성 평가체계와 의료기기에 특화된 가이드라인 개발 등 3D프린팅 장비·소재·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한 품질인증 체계를 마련한다. 또한 디지털적층성형기계 품목을 신설한 ‘관세·통계통합품목분류표’ 및 ‘한국표준산업분류’를 개정·시행하고 3D프린팅 R&D 비용과 사업화 시설 투자금에 대한 세제지원을 확대한다. 아울러 안전한 3D프린팅 이용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3D프린팅서비스사업자의 표준약관을 제정·시행하고 안전보건협회, 표준협회 등 산업안전교육 실시기관에 의한 안전교육 실시, 서비스 사업자 신고 제도를 운영한다. 

 

시행계획 발표에 앞서 미래부는 청계천 세운상가의 3D프린팅 벤처기업 현장에서 산학연 및 관계부처 간담회를 개최하여 기업의 애로사항과 전문가 의견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서 강성주 미래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3D프린팅은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제조업 혁신과 신시장을 창출할 지능정보사회의 핵심기술”임을 강조하고,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부처간 협력이 매우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